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총정리-혜택, 장단점, 2025 준비 팁까지!

*이 글은 2024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신청은 2024년 5월에 마감되었습니다. 다만 2025년에도 유사 조건으로 재개될 가능성이 높기에 미리 확인해두시면 큰 도움이 될겁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가 만기 60개월(5년)동안 매월 70만원 이내에 적금하게 되면 매월 정부가 최대 6%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비과세 혜택을 주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알아보시려는 분들은 아래에 자세한 사항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 및 정부지원금

 

청년도약계좌란?

청년 도약계좌란 청년의 자산지원형성을 위한 금융상품으로 만기 60개월(5년)동안 매월 40~70만원 자유롭게 납입하게 되면 매월 정부가 최대 6%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비과세 혜택을 주는 상품입니다.

예를들어 70만원 * 60개월 = 4200만원을 적금하게 되면 정부는 월 최대 2만 4000원을 지급하므로서 5000만원을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가입대상 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조건

  1. 나이조건은 만19세부터 34세 이하 가능합니다. 단,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나이조건에서 빼줍니다.

2. 개인소득은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 기준으로 7,500만원이며, 사업소득자인 경우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입니다.

단,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3. 가구소득은 가구원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해야 합니다.

여기서 가구원은 본인의 주민등록 등본상 직계존속, 직계비속, 배우자, 형제자매(미성년자) 가 해당됩니다.

4. 금융소득은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가운데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해당되면 안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금

정부지원금은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다르니 아래 표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소득기준 정부기여금
지급한도 매칭비율 한도
총급여 2,400만원↓ (종합소득 1,600만원↓)
40만원
6.0%
2.4만원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 2,600만원↓)
50만원
4.6%
2.3만원
총급여 4,800만원↓ (종합소득 3,6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총급여 6,000만원↓ (종합소득 4,8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총급여 7,500만원↓ (종합소득 6,300만원↓)

 

이 조건으로 본다면 첫번째 구간에 해당이 되었을때 가장 많은 지원을 받게 됩니다. 근로소득 연2,400만원 이하에 사업소득 1,600만원 이하로 해당이 된다면 정부기여금은 최대 6%의 40만원으로 월 24000원의 정부기여금을 받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청년 도약계좌를 심사하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서민금융진흥원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 장단점

청년 도약계좌의 단점은 우선 바로 저축기간입니다. 매달 70만원 이하로 자유예금이지만 계약기간이 5년이나 된다는 점입니다.

청년층의 경우 급여수준이 높지 않고 이직을 하려고 중간에 쉬게되거나, 인턴 또는 계약직으로 안정된 직장이 아니라면 꾸준히 납입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청년 도약계좌의 장점은 정해진 금액을 매달 납입하는 점이 아니기에 매달 천원도 가능하는 자유예금처럼 자유롭고, 납입을 못하더라도 해약이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유의사항

  1. 매월 초 취급은행에 가입신청을 받습니다.
  2. 신청 후 약 3주동안 신청인이 청년도약계좌에 적합한지 확인절차를 합니다.
  3. 다음 달 신규 적금 계좌개설이 됩니다.

청년 도약계좌 가입시 유의사항은 취급은행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능하며,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유지하고 있는경우 청년 도약계좌에 가입 불가능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