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전라남도에서 제공하는 전남에 거주하는 청년들을 위한 문화와 복지 및 자기개발을 지원하기위해 연 25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3월 안에 신청하시고 사용처도 알아보기 바랍니다.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신청
- 신청일은 2024년 3월1일부터 3월 31일입니다.
- 신청자격은 아래 2가지 조건이며 모두 충족됐을 경우 개인의 소득과 상관없이 지원합니다.
- 2022년 3월 1일 이전부터 전라남도내에 주소를 두고 계속 거주하는 자 (2년이상)
- 1996~2005년도 출생자
- 주소지는 전남이나 광주 등 다른 시.도에서 학교 다녀도 신청 가능합니다.
- 제외대상 꼭 확인바랍니다.
- 복지카드를 지급받는 공공기관 근무자 (공공기관 근무는 하나 복지카드를 받지않은자는 가능)
- 학교 밖 청소년 교육수당을 당해연도 1회이상 지급받았거나, 지급받을 자 (9세~24세이며 학교를 다니지 않는 중에 지원센터 등록 후 수당 월20만원 지급받고있는 자)
- 전라남도 여성농업인 바우처 대상자
-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자 (이 경우 차액을 지급)
- 신청방법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2가지 입니다.
- 오프라인: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시.군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시 거주자는 광주은행 누리집, 군 거주자는 농협카드 누리집에 접속하여 신청
- 온라인상 카드신청이 어려운 경우 직접은행 방문 가능합니다. 각 은행의 계좌가 없는 경우 계좌 개설 후 카드발급이 가능합니다.
광주은행 바로가기
- 제출서류
- 신청서 1부
- 개인정보동의서 1부
- 주민등록초본 1부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1부
- 지급일
- 신청을 3월에 마쳤으면 자격요건확인 및 대상자는 4월에 하게됩니다.
- 카드발급은 5월에 하며 주민센터든 온라인에서 신청하였든 카드는 우편으로 1주일 이내 보내지게 됩니다.
- 본인이 수령했을 경우 바로 카드사용이 가능하나 그렇지 않았을 경우 카드 본인 등록 후 사용가능합니다.
- 24년 12월 31일까지 연 25만원을 다 사용하면되며 남은 잔액은 이월되지 않습니다.
- 이전 연도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자는 25만원이 자동충전되기 때문에 새로 발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 카드 분실.훼손 됐을경우 은행에서 재발급 가능합니다.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잔액
- 지원금은 문화복지카드인 체크카드로 지급되며 카드 사용했을 경우 문자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로 사용금액 및 잔액을 안내합니다. 이 안내를 못받았을 경우 아래 방법으로 잔액조회 하면 됩니다.
- 광주은행 앱 -> 카드 -> MY바우처 잔액조회
- 농협카드 앱 -> 정부지원/바우처 -> 이용내역 조회
- 지원금 잔액 이상 금액을 결제했을 경우: 지원금 전액 + 체크카드 계좌 내 입금금액
예) 지원금 잔액 3만원일 경우 5만원 결제했을 때: 지원금 3만원 지출과 개인 입금액 2만원 결제가 됩니다.
- 지원금 25만원은 전남도내 업종에서만 사용가능하나, 개인 입금액은 모든 사용처에서 가능합니다. 복지카드 사용처가 아닌경우는 개인 입금금액이 사용됩니다. 타 체크카드와 동일하게 개인이 입금하여 제한없이 사용가능합니다.
- 카드사용이 되지 않는 경우 각 카드사 고객센터를 통하여 사유를 알수 있습니다. 광주카드1577-3650, 농협카드1644-4000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사용처
사용처는 전남 도내 오프라인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 문화 및 여가
- 공연관람: 연극, 영화, 공연
- 전시: 미술관, 박물관, 비엔날레, 화랑
- 체육: 헬스, 볼링, 수영, 요가, 필라테스, 에어로빅, 복싱, 탁구, 당구, 사격, 골프, 롤러스케이트, 승마, 스케이트, 스키, 태권도, 합기도, 유도, 스포츠 댄스, 방송댄스, 체육용품, 스포츠의류(일반의류 불가)
- 기타: 사진관
- 자기계발
- 강좌: 학원수강 등 가기계발 강좌
- 도서: 서점, 중고서점, 신문/잡지 구독
- 음악: 음반, 악기구입
- 관광
- 숙박: 호텔, 리조트, 콘도, 민박, 게스트하우스, 휴양림, 캠핑장, 야영장
- 테마파크: 놀이공원, 워터파크, 아쿠아리움
- 체험관광: 템플스테이, 레일바이크 짚라인 등
- 기타: 렌트카
- 이용불가
- 나주시: 국립나주숲체원
- 무안군: 회산백련지, 밀리터리테마파크, 전통생활문화테마파크, 노을길야영장, 무안종합스포츠파크, 황토갯벌랜드
- 온라인(인터넷, 앱 등), 키오스크 및 광주광역시 등 타 시도 사용